스프링부트 4

5장 게시글 읽기: Read

5.1 데이터 조회 과정웹 페이지에서 게시글을 등록하면 서버를 통해 DB에 저장됩니다. 이렇게 DB에 저장된 데이터를 웹 페이지에 출력하는 과정은 앞서 배운 다양한 요소 간 상호 작용으로 이로어집니다. 1. 사용자가 데이터를 조회해 달라고 웹 페이지에서 URL 요청을 보냅니다. 2. 서버의 컨트롤러가 요청을 받아 해당 URL에서 찾으려는 데이터 정보를 리파지터리에 전달합니다.3. 리파지터리는 정보를 가지고 DB에 데이터 조회를 요청합니다.4. DB는 해당 데이터를 찾아 이를 엔티티로 반환합니다.5. 반환된 엔티티는 모델을 통해 뷰 템플릿으로 전달됩니다.6. 최종적으로 결과 뷰 페이지가 완성돼 사용자의 화면에 출력됩니다. 데이터를 조회하는 과정에서 각 요소의 역할을 이해했나요? 아직은 와닿지 않을 테니 실..

스프링부트 2025.01.20

4장 롬복과 리팩터링

4.1 롬복이란 롬복(lombok)이란 코드를 간소화해 주는 라이브러리입니다. 개발하다 보면 getter(), setter(),constructor(), toString()과 같은 필수 메서드를 사용하기 마련인데요. 이를 매번 작성하는 것은 생각보다 번거롭습니다. 스마트하지만 게으른 개발자들은 이런 반복을 없애려 했고, 그래서 나온 도구가 바로 롬복입니다. 롬복을 사용하면 필수 코드를 간편하게 작성할 수 있습니다. 또 로깅 기능을 통해 println() 문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로깅(logging)이란 프로그램의 수행 과정을 기록으로 남기는 것을 말하는데, 일종의 자동차 블랙박스와 같습니다. 이 장에서는 롬복으로 코드를 리팩터링해 보겠습니다. 리팩터링(refactoring)이란 코드의 기능에는 변함이 ..

스프링부트 2025.01.15

3장 게시판 만들고 새 글 작성하기: Create

3.1 폼 데이터란폼 데이터(form data)란 HTML 요소인 태그에 실려 전송되는 데이터를 말합니다. 다들 인터넷 게시판에 글을 써 본적이 있을 것입니다. 내용을 입력하고 [전송] 버튼을 누르면 게시글이 올라가는데요. 태그는 이렇게 웹 브라우저에서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합니다.  태그는 택배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택배를 보낼 때 송장에 수령자와 배송 형태(익일 배송, 새벽 배송)를 적습니다. 태그도 데이터를 전송할 때 어디로(where), 어떻게(how) 보낼지 등을 적어서 보냅니다.  태그에 실어 보낸 데이터는 서버의 컨트롤러가 객체에 담아 받습니다. 이 객체를 DTO(Data Transfer Object)라고 합니다. DTO로 받은 데이터는 최종적으로 데이터베이스(DB, Data..

스프링부트 2025.01.15

1장 스프링 부트 시작하기

1.1 스프링 부트란스프링 부트(Spring Boot)는 자바 웹 프로그램을 더욱 쉽고 빠르게 만들기 위한 도구입니다.스프링 부트에는 자바 웹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한 기능과 도구가 모여 있습니다. 그래서 스프링 부트를 사용하면 더 쉽고 빠르게 자바 웹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습니다.더보기스프링과 스프링 부트스프링 부트는 사실 새로운 기술이라기보다는 스프링 프레임워크(Spring framework)를 개선한 것입니다.대표적인 개선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개발 환경 설정을 간소화 : 스프링은 버전에 따라 동작하는 외부 라이브러리를 일일이 찾아 연동해야 합니다. 하지만 스프링 부트는 미리 설정된 스타터 프로젝트로 외부 라이브러리를 최적화해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직접 연동할 필요가 없습니다. - 웹 애플리케이..

스프링부트 2025.01.06